유교사상의 현재성과 윤리교육
₩30,000
售完
景仁文化社
Hardcover
A5
0 页
2014.02.25
9788949910123
|
이 책은 유교사상과 윤리교육을 현실에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한 필자의 연구 결과물로 현대의 윤리문제에 대한 유교사상과 윤리교육의 대응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제 1부 <유교사상의 윤리학적 의미>는 유교에서의 윤리학적 논의들을 모은 것이다. “맹자의 양심론”은 맹자사상에서 양심의 윤리적 함의를, “순자의 인성론”은 순자사상에서 최근 부상한 사회생물학에 대한 유교적 대응 논리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제 2부 <유교사상의 본질과 현대윤리>는 유교사상의 핵심 개념과 본질을 탐구하여 현대 윤리문제와 연계시킨 연구들이다. “‘仁’의 본질과 생태윤리”는 孔孟의 ‘仁’, 나아가 정명도의 ‘識仁’에서 현대 환경문제에 대한 생태윤리적 대안을 찾아본 것이다.
제 3부 <유교사상과 윤리교육의 상생>은 유교사상과 윤리교육의 만남을 통한 상생 가능성을 타진한 글들이다. “유교교육의 본질과 방법”은 유교에서 교육의 의미와 목표 및 내용, 방법적 원리를 탐구하여, 오늘날 교육의 방향에 대해 성찰한 것이다. “품격 있는 사회를 위한 유교의 인성교육 담론”은 이익 추구와 경쟁의 논리에 의해 품위가 저하되는 현실에서, 개인적으로는 인격, 사회국가적으로는 품격을 찾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한 결과물이다.
책머리에
제1부 유교사상의 윤리학적 의미 1
제1장 맹자의 양심론 3
Ⅰ. 머리말 : 양심 논의에서 중요한 세 가지 3
Ⅱ. 맹자의 양심 개념 8
Ⅲ. 맹자의 양심과 관련된 문제들 14
1. 원천 : 天과 天命 15
2. 형성, 그리고 차이 : 大人・小人의 양심 18
3. 저항권 : 양심의 자유와 혁명권 25
Ⅳ. 맺음말 : 맹자 양심의 윤리적 의미 30
제2장 순자의 인성론 33
Ⅰ. 머리말 : 사회생물학과 유교의 만남 33
Ⅱ. 순자 인성론의 구조와 도덕성 38
1. 性이 惡이 되는 이유 38
2. 自然天과 能參의 가치 43
3. 禮의 도덕성과 ‘化性起僞’ 49
Ⅲ. ‘化性起僞’의 도덕교육, 그 의미와 한계 53
Ⅳ. 맺음말 : 순자와 맹자,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60
제3장 백호 윤휴의 철학적 인간학 63
Ⅰ. 머리말 : 백호 연구의 한계와 지향점 63
Ⅱ. 정합성 토대로서의 철학적 인간학 67
Ⅲ. 백호 철학의 정합성 요소 69
1. 자아와 세계 : 인식론 69
2. 자기완성[修己] : 내적 정합성 75
3. 이론과 실천[治人] : 외적 정합성 85
Ⅳ. 백호 철학의 정합성에 대한 인간학적 탐구 90
Ⅴ. 맺음말 94
제4장 반계 유형원의 유토피아 사상 97
Ⅰ. 머리말 : 실학과 유토피아, 모순과 조화 97
Ⅱ. 유토피아 사상의 특성과 이상사회론 101
Ⅲ. 반계의 사회개혁론과 이상국가론 107
Ⅳ. 반계 유토피아의 현실성과 이상성, 그 갈등과 조화 113
Ⅴ. 맺음말 : 반계 유토피아 사상의 현대적 의의 119
제2부 유교사상의 본질과 현대윤리 123
제1장 ‘仁’의 본질과 생태윤리 125
Ⅰ. 머리말 125
Ⅱ. 환경윤리학의 논의와 그 철학적 한계 128
Ⅲ. 孔孟의 仁과 생태윤리의 철학적 근거 136
1. 공자의 仁 : 인간의 도덕의식 136
2. 맹자의 仁 : 만물에 대한 사랑 141
Ⅳ. 정명도의 仁에 나타난 생태철학의 특성 147
1. 仁 : 만물과의 합일 147
2. 識仁 : 본체의 체인 150
3. 定性 : 誠敬의 실천 154
Ⅴ. 맺음말 157
제2장 ‘禮’의 본질과 작용원리 161
Ⅰ. 머리말 : ‘禮’의 의미 161
Ⅱ. 『논어』에서 禮의 정신과 형식의 문제 165
Ⅲ. 〈향당〉의 구성과 禮의 내용 173
1. 종묘와 조정에서의 禮 177
2. 향당과 일상에서의 禮 180
Ⅳ. <향당>에서 禮의 본질과 원리 183
1. 禮의 본질 : 文과 質의 合一 183
2. 禮의 원리 : 文에 의한 禮의 완성 185
Ⅴ. 맺음말 : 도덕교육에의 시사점 189
제3장 남명 조식의 ‘義’와 실천윤리 191
Ⅰ. 머리말 191
Ⅱ. 남명 실천윤리의 기초 193
1. 儒의 본래적 의미와 修己治人 193
2. 현실정치에 대한 입장과 대처 195
Ⅲ. 남명 상소에 나타난 실천윤리 203
1. 乙卯辭職疏[을묘년에 사직하는 상소] 204
2. 丁卯辭職呈承政院狀[정묘년에 사직하면서 승정원에 올린 상소] 211
3. 戊辰封事[무진년에 올리는 봉사] 213
4. 謝宜賜食物疏[음식을 내려주신 은혜에 감사드리는 상소] 219
Ⅳ. 맺음말 221
제4장 유교의 ‘和’와 시민윤리 225
Ⅰ. 머리말 225
Ⅱ. 유교적 가치질서의 意義 231
Ⅲ. ‘和’ 개념과 한국 사회 분석 237
1. ‘和’의 본질적 의미 237
2. ‘연고 집단’의 ‘不和’ 문제 244
Ⅳ. ‘和’ 개념을 통한 시민윤리 정립 249
Ⅴ. 맺음말 251
제5장 유교의 ‘敬’과 외경윤리 253
Ⅰ. 머리말 253
1. 제1성찰 : 儒에 대하여 253
2. 제2성찰 : 도덕교육에 대하여 255
Ⅱ. 외경윤리의 필요성과 ‘畏敬’의 본질 260
Ⅲ. 유교에서 ‘敬’의 본래적 의미 266
1. 書經 : 경건성으로서의 경 267
2. 공자 : 관계성으로서의 경 269
3. 맹자 : 올바름으로서의 경 272
Ⅳ. 敬의 실천 원리와 방법 찾기 274
Ⅴ. 맺음말 281
제3부 유교사상과 윤리교육의 상생 285
제1장 유교교육의 본질과 방법 287
Ⅰ. 머리말 287
Ⅱ. 유교에서 교육의 의미와 인간 이해 289
Ⅲ. 유교에서의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297
1. 교육 목표 : ‘聖人・君子’의 양성 297
2. 교육 내용 : 修己治人을 위한 가치 덕목 299
Ⅳ. 유교교육의 방법적 원리와 윤리교육 303
1. 畏敬의 원리 : 天과 聖人 303
2. 대조의 원리 : 君子와 小人 307
3. 단계의 원리 : 자아실현의 단계 309
4. 공감의 원리 : 감정이입을 통한 도덕감 형성 311
5. 禮樂의 원리 : 문학과 예술을 통한 정서 순화 315
Ⅴ. 맺음말 : 윤리교육에의 시사점 318
제2장 품격 있는 사회를 위한 유교의 인성교육 담론 323
Ⅰ. 머리말 : 유교 담론의 한계와 인성교육 담론 323
Ⅱ. 유교 인성교육의 본질과 성찰 327
Ⅲ. 시대・사회적 요구와 유교 인성교육 333
1. 한국사회의 변화와 품격의 필요성 333
2. 미래사회의 도래와 인간 주체성 회복 338
Ⅳ. 현대사회에서 유교 인성교육의 적용 방안 341
1. 품격의 바탕 : 선비정신과 나눔 문화 341
2. 일상적 창의성 : 인성과 창의성의 상생교육 344
3. 가정교육 : 밥상머리교육과 隔代교육의 확대 346
Ⅴ. 맺음말 : 품격 있는 사회를 위하여 349
제3장 유교에서 본 다문화교육 시론 353
Ⅰ. 머리말 : 다문화 시대의 유교 담론 353
Ⅱ. 유교에 내재한 단일민족에 대한 반성적 담론 357
Ⅲ. 유교에서 다문화주의 원리 찾기 365
1. 상대성과 보편성의 균형 원리 : 理一分殊 365
2. 어울림과 관용의 원리 : 和而不同과 忠恕 367
3. 자기성찰의 원리 : 愼獨과 誠 370
Ⅵ. 유교의 다문화원리 실현을 위한 교육 방법 371
Ⅴ. 맺음말 : 다문화 사회에서 유교의 한계와 비전 375
참고문헌 379
글의 출처 398
찾아보기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