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 English
  • 简体中文
公司简介 客户中心 | 首页
신라 목간의 세계
이경섭 저
₩34,000
售完
景仁文化社
Hardcover
A5
0 页
2013.08.16
9788949909561

木簡은 ‘문자가 기록된 나무조각[木片]’을 의미하며, 고대 동아시아사회에서는 종이가 사용되기 이전, 나아가 종이가 발명된 이후에도 그것이 사회적으로 보편화되기 이전 시기에 가장 널리 사용된 서사재료이다. 좁은 의미에서는 문자가 기록된 것만을 목간이라고 하지만 문자를 기록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목제품을 함께 목간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목간은 문헌자료와 달리 당시 사람들이 직접 사용하였던 자료이기 때문에 나무조각에 남겨진 생생한 고대인의 암호이자 타임캡슐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목간은 신라와 백제에서 사용된 것으로 고려려목간은 아직 출토된 것이 없다. 출토된 목간의 70% 이상은 신라목간이다.

신라 의 목간은 왕경과 지방을 포함하여 전체 12개 유적에서 561점이 출토되었으며, 이 가운데 문자가 확인되는 것이 341점 정도이다. 이들 목간은 형태상으로 장방판형, 다면형, 원주형, 홈형, 기타의 목간으로 분류되며, 용도는 크게 문서목간, 꼬리표목간, 기타목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문서목간은 문서와 기록(장부・집계・전표 등)으로 나뉘어지며, 꼬리표목간은 짐꼬리표와 물품꼬리표로 세분화된다. 기타 용도로는 주술・의례용목간, 학습용(글자연습, 전적암송)목간, 문서표지목간 등이 사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주로 문서목간은 장방판형, 다면형, 원주형목간들이 이용되었고, 꼬리표목간은 홈형목간이 사용되었다. 기타 용도의 목간들은 그 용도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음이 확인된다.
목간에는 여러 내용의 글들이 적혀있다. 수취와 분배를 주관하던 국가, 자신의 생산물을 짊어지고 와서 납부하던 사람들과 그들의 이름을 적으면서 수취를 실현하던 사람들, 수취된 물품의 운송과 목간의 폐기, 이 모든 과정이 목간이라는 자료에 내재되어 생생한 당시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서론 신라 목간의 출토 현황과 분류 _ 1 목간의 출토와 보고 _ 6 ‘목간’ 문화의 수용 _ 15 목간의 형태 분류 _ 19 목간의 용도 분류 _ 27 제1부 왕경과 목간의 문자 _ 33 제1장 新羅 月城垓子 木簡의 출토상황으로 본 月城 周邊의 景觀 변화 _ 35 1. 월성해자 목간의 출토위치 _ 37 2. 共伴遺物과 목간의 年代 _ 42 3. 목간의 폐기환경과 사용처 _ 50 4. 月城 周邊의 景觀 변화 _ 55 제2장 月城垓子 출토 ‘2호 목간’의 분석 _ 71 1. 判讀과 解釋 _ 73 2. 목간의 年代 _ 77 3. 목간의 性格과 文書行政 _ 81 4. 고대 일본 목간과의 비교 _ 89 제3장 雁鴨池 木簡과 新羅 宮廷의 日常 _ 97 1. 목간의 최근 조사 경과 _ 100 2. 꼬리표 목간의 양상 _ 104 3. 다양한 文書木簡들 _ 116 제2부 지방 출토 목간과 정치의 문자 _ 131 제1장 성산산성 출토 짐꼬리표[荷札] 목간의 地名 문제와 제작 단위 _ 133 1. 목간에 묵서된 주요 地名의 比定 _ 135 2. 本波・阿那・末那・前那의 의미 _ 142 3. 짐꼬리표목간의 제작단위 _ 152 제2장 성산산성 출토 題籤軸과 고대 동아시아세계의 文書標識목간 _ 169 1. 일본 고대 文書軸의 양상 _ 172 2. 성산산성 출토의 제첨축 _ 179 3. 고대 동아시아세계의 문서표지 목간과 제첨축의 기원 _ 187 제3장 二聖山城 출토 文字遺物을 통해서 본 신라 지방사회의 文書行政 _ 199 1. 목간의 현황과 이성산성의 목간문화 _ 201 3. 戊辰年목간과 文書行政 _ 210 3. 벼루의 출토현황과 이성산성 _ 219 제4장 新羅의 奴人-성산산성 목간과 「울진봉평신라비」를 중심으로- _ 231 1. 奴人 목간의 분석 _ 233 2. 仇利伐의 촌락 구조 _ 238 3. 仇利伐의 奴人과 收取 _ 242 4. 奴人의 間隙 -男弥只村에서 仇利伐로- _ 253 제3부 신라의 목간과 그 주변 _ 263 제1장 한국 고대 목간문화의 기원 _ 265 1. 樂浪 簡牘의 현황 _ 266 2. 삼국 초기의 文字狀況 _ 275 3. 한국 고대의 초기 목간문화 _ 285 제2장 궁남지 출토 목간과 백제사회 _ 301 1. 목간의 形態와 判讀・書式 _ 303 2. 목간의 용도 _ 312 3. 목간에 내재된 國家와 人民 _ 324 제3장 고대 한일의 문자문화 교류와 목간 _ 333 1. 고대 일본의 文字狀況과 移住民 _ 335 2. 韓日 고대 목간의 形態와 用法 _ 347 결론 신라의 목간문화 _ 387 신라 목간의 기원 _ 390 單獨簡의 문화 _ 395 收取와 목간 _ 398 文書行政과 목간 _ 404 목간과 古代國家 _ 411 ■참고문헌 _ 415 ■찾아보기 _ 431
이경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