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과 동아시아 문명
₩20,000
叛卖中
景仁文化社
Paperback
A5
280 页
2012.02.24
9788949908489
|

동아시아 해안도서의 역사문화와 지형도 시리즈로 북한강유역 철기시대 주거지 연구, 홍산문화 옥저룡, 쌍수수황형기, 쌍수수삼공기의 상징적 의미와 ‘환일’ 현상, 장소성 개념을 통해 살펴 본 ‘무이도가’와 ‘곡운구곡가’ 비교 등의 내용이 담겼다.

북한강유역 철기시대 주거지 연구(박성우 · 남재영)
-영동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산문화 옥저룡(玉猪龍), 쌍수수황형기(雙獸首璜形器), 쌍수수삼공기(雙獸首三孔器)의
상징적 의미와 '환일(幻日: Sundog)' 현상(우실하)
장소성 개념을 통해 살펴 본 [무이도가]와 [곡운구곡가] 비교(이효숙)
명청대 장강 하류 문예부흥의 두 가지 표상(권석환)
-소주(蘇州)의 패트로니지(patronage)와 물길을 중심으로-
고대 동아시아의 칠석문학에 나타난 漢水의 수용과 의미(이상준)
[吉野讚歌]에 나타난 강(河·川)의 이미지(尹永水)
한민족 歷史空間의 이해와 江海都市論 모델 (尹明喆)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