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제의 역사침략 120년
₩23,000
叛卖中
景仁文化社
Paperback
A5
438 页
2003.01.30
8949901730
|

과거의 사실과 기록이 역사로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역사가가 어떤 집단의 이익을 옹호하며 해석하는가에 따라 역사는 그 선택과 해석이 달라진다. 초기 한국사 연구는 일본인에 의해서 식민주의적사관을 바탕으로 연구되어졌으므로 출발부터 본질이 왜곡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저자는 한국사의 원형을 복원하기 위한 선행과제라고 할 수 있는 식민주의사관의 극복을 위해 식민주의사관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선학들의 분야별 연구성을 종합하여 이 책에 담았다.

서론 ... 1
제1부 일제의 역사침략
제1장 일본의 한국인식과 침략논리 형성
제2장 식민주의사관의 연원과 태동
제3장 식민주의사관의 체계화
제2부 사대.식민주의사관 극복노력과 잔영
제4장 한국인의 역사인식
제5장 한국사 인식상의 제 문제
제6장 교육현장과 생활주변의 제 문제
결론 ... 391
참고문헌 ... 400
영문요약 ... 411
찾아보기 ... 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