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북아불교사료총서 1
불복장에 새겨진 의미
佛腹藏에 새겨진 의미
₩13,000
In Stock
Kyungin Publishing Co.
Hardcover
A5
340 pages
March 28, 2008
9788996025511
|

불교의 경전 중 불복장의식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조상경(造像經)』의 유점사본과 용천사본을 바탕으로 하여 불상조성과 불복장의식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를 수록한 책이다. 저자가 기존에 수집한 자료를 『조상경』을 중심으로 재배치하여 해당 경전의 진면목을 발견하고 그 사상을 드러내고자 시도하고 있다. 불교의 복장의식과 불상조성을 재현하고 그 시원을 찾는 데 그치지 않고 현재 남아있는 유물들을 재조명해야 한다는 의견도 이 책에서 제시되고 있다.

머리말
불복장에 새겨진 의미
- 『조상경』 해제 -
복장의 한국수용과『조상경』의 성립
화악지탁의『조상경』구조와 사상
복장절차와 불상의 의미
복장물목이 가지는 상징성
복장과 점안의식
유물보존을 위한 제안
영인본
조상경(용천사본, 1575년)
조상경(유점사본, 1824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