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북아불교사료총서 3
천지명양수륙재의 범음산보집(국역)
₩29,000
판매중
양장
A4
363 쪽
2011년 1월 31일
9788996025566
|

『천지명양수륙재의 범음산보집(국역)』은 불교의 각종 재의식을 집대성한 불교의례집으로 대령의를 시작으로 분수작법, 영산작법 등 99종의 작법이 수록되어 있다. 불교의 재의식은 대부분 천지와 명양, 수륙에 있는 모든 중생, 유주무주고혼, 아귀 등을 구제하기 위해 법식을 베푼다. 이 책에 수록된 작법 중에 영산작법은 부처님 당시의 영산회상을 다시 꾸며,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불법과 인연을 맺고 업장소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자 서문
일러두기
해제(解題)
범음집산보서(梵音集刪補序)
신간범음집산보서(新刊梵音集刪補序)
천지명양수륙재의 범음산보집 권지상
天地冥陽水陸齋儀 梵音集刪補 卷之上
◎ 대령의(對靈儀)
◎ 분수작법절차(焚修作法節次)
◎ 대분수작법(大焚修作法)
.
.
(중략)
.
.
◎ 욕구(浴具)
◎ 삼단변공의(三壇變供儀)
◎ 하단현식의(下壇獻食儀)
천지명양수륙재의 범음산보집 권지중
天地冥陽水陸齋儀 梵音集刪補 卷之中
◎ 지반삼주야 작법절차(志磐三晝夜 作法節次)
◎ 3일재 앞의 작법절차(三日齋前作法節次)
◎ 상단영청지의(上壇迎請之儀)
.
.
(중략)
.
.
◎ 상당축원(上壇祝願)
◎ 다비문(茶毘文)
◎ 법사입방법(法師立方法)
3권 자기문오주야작법규 권지하
三卷 仔夔文五晝夜作法規 卷之下
◎ 초일풍백우사단작법(初日風白雨師壇作法)
◎ 가람단작법(伽藍壇作法)
◎ 당산천왕단작법(當山天王壇作法)
.
.
(중략)
.
.
◎ 십권자기문삼주야작법규(十卷仔夔文三晝夜作法規)
◎ 삼권자기문삼주야작법규(三卷仔夔文三晝夜作法規)
◎ 범음집발문(梵音集跋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