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아시아 세계의 기록문화와 학문정신
₩14,000
판매중
경인문화사
종이 표지
A5
231 쪽
2011년 9월 26일
9788949908083
|

이 책은 동아시아 각국과 여러 민족의 역사와 언어, 문학, 종교, 철학, 민속, 사회, 문화,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를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동아시아 각국과 여러민족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확인한다.

神母 認識을 통해서 본 中世 東아시아의 記錄精神(김용기)
일기를 통해본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기록정신(송재용)
이야기의 서승(書承)에 대한 근대적 관심과 기록정신(최원오)
일제의 의병 '토벌' 기록과 주한일본군 헌병대(1907 ~ 1910)(이승희)
명대 말기 한 유학자의 사서 편찬과 기록정신(신현승)
ㅡ절동사학의 계보와 유종주의 사서 편찬ㅡ
일본 萬葉歌의 기록과 그 의미(尹永水)
ㅡ'人麻呂歌集歌'의 표기법을 중심으로 ㅡ
'오키나와 주체' 기록과 '오키나와 역사학'(전성곤)
ㅡ이하 후유(伊波普猷)와 야나기타 구니오(柳田?男)를 중심으로ㅡ
주몽신화에 보이는 '婚姻 記事의 中層性 문제(이지영)


